민사소송을 진행해야 하거나 이혼재판을 해야 할 때 반드시 내가 사는 법원 근처 변호사 사무실에 사건을 맡겨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근처에 있으니 방문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것보다 얼마나 내가 만족하는 곳을 선택했는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좋은 변호사 사무실 찾기
물론 근처에 있는 변호사가 나와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형사사건을 제외하고는 이혼재판이나 민사재판 등 여러 사건을 전자소송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형사재판도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전자소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소송에 화상재판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웹캠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변호사가 법정에 출석하여 재판장의 진행에 따라 변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원거리에서도 직접 법원에 출석하지 않고도 온라인 재판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좋은 변호사를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여러 가지 기준이 있겠지만 크게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변호사가 직접 사건을 맡아 서면을 작성하는지입니다.
변호사사무실에는 사무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무장의 역할은 사건 관리도 있지만 서면 작성업무를 전담하는 사무장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러한 사무실에 사건을 맡긴 의뢰인으로서는 당연히 변호사가 서류룰 작성하는지 알고 있을 것입니다.
두번째로는 변호사와 연락이 잘 되는지입니다.
사건을 맡길 초기 단계부터 사건이 판결 선고가 다 될때까지 사무장이나 직원을 만나기는 했으나 변호사의 얼굴을 한번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의외로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과연 내가 맡긴 사건을 변호사가 잘 관리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변호사와 통화를 하고 싶어 사무실에 전화를 하면 매번 변호사는 안 계신다고 하며 직원이 전화를 받습니다.
변호사를 선택할 때 한가지 추가되는 부분이 있다면 본인의 개인 전화번호를 공유하는지도 중요합니다.
변호사가 본인 연락처를 공유하여 업무 시간 중 의뢰인이 바로 통화나 문자메시지, 카카오톡으로 궁금한 점을 물어보고 이에 대한 답을 듣게 된다면 의뢰인으로서는 신뢰감이 높아질 것입니다.
나의 사건을 진행할 법원 근처 변호사 사무실은
바로 전국 어느 법원 근처 사무실이든 내가 직접 검색하여 마음에 드는 변호사를 선택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무실 홍보글이 키워드마다 도배글로 되어 있는 곳은 가급적 개인적인 꼼꼼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대부분 기업형으로 사건을 찍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외로 만족도나 수임료에서 실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나의 사건을 맡을 변호사는 바로 나와 연락이 잘 되며 내 사건 기록을 직접 작성하고, 많은 사건을 다루지 않는 쉽게 말하면 적당히 바쁜 변호사를 선택하는 것이 한가지 방법이 되겠습니다.
전국에 있는 지역별 법원 알아보기
지방법원과 시법원 그리고 군법원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가정법원, 서울행정법원, 서울회생법원,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북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경기도 및 인천시
의정부지방법원 및 고양지원, 남양주지원, 인천지방법원 및 부천지원, 인천가정법원 및 부천지원, 수원지방법원 및 성남지원, 여주지원, 평택지원, 안산지원, 안양지원, 수원가정법원 및 성남지원,
여주지원, 평택지원, 안산지원, 안양지원, 수원회생법원, 의정부 관할 가평군법원, 연천군법원, 동두천시법원, 파주시법원, 인천 관할 강화군법원, 김포시법원, 수원 관할 오산시법원, 용인시법원, 광주시법원, 양평군법원, 이천시법원, 안성시법원, 광명시법원
강원도
춘천지방법원 및 강릉지원, 원주지원, 속초지원, 영월지원, 의정부 관할 철원군법원, 춘천 관할 인제군법원, 홍천군법원, 양구군법원, 화천군법원,
삼척시법원, 동해시법원, 횡성군법원, 고성군법원, 양양군법원, 정선군법원, 태백시법원, 평창군법원
충청 대전 지역
청주지방법원 및 충주지원, 제천지원, 영동지원, 보은군법원, 괴산군법원, 진천군법원, 음성군법원, 단양군법원, 옥천군법원
대전시
대전지방법원 및 홍성지원, 공주지원, 논산지원, 서산지원, 천안지원, 대정가정법원 및 홍성지원, 공주지원, 논산지원, 서산지원, 천안지원, 세종특별자치시법원, 금산군법원, 서천군법원, 보령시법원, 예산군법원, 청양군법원, 부여군법원, 태안군법원, 당진시법원, 아산시법원
경북 대구시
대구지방법원 및 서부지원, 안동지원, 경주지원, 포항지원, 김천지원, 상주지원, 의성지원, 영덕지원, 대구가정법원 및 안동지원, 경주지원, 포항지원, 김천지원, 상주지원, 의성지원, 영덕지원, 청도군법원, 영천시법원, 칠곡군법원, 경산시법원, 성주군법원, 고령군법원, 영주시법원, 봉화군법원, 구미시법원, 문경시법원, 예천군법원, 군위군법원, 청송군법원, 영양군법원, 울진군법원
경남 부산시 울산시
부산지방법원 및 동부지원, 서부지원, 부산가정법원, 부산회생법원, 울산지방법원, 울산가정법원, 창원지방법원 및 마산지원, 진주지원, 통영지원, 밀양지원, 거창지원, 양산시법원, 창원남부시법원(진해), 김해시법원, 함안군법원, 의령군법원, 하동군법원, 사천시법원, 남해군법원, 산청군법원, 거제시법원, 고성군법원, 창녕군법원, 합천군법원, 함양군법원
전남 광주시
광주지방법원 및 목포지원, 장흥지원, 순천지원, 해남지원, 광주가정법원 및 목포지원, 장흥지원, 순천지원, 해남지원, 담양군법원, 곡성군법원, 화순군법원, 나주시법원, 영광군법원, 장성군법원, 함평군법원, 영암군법원, 무안군법원, 강진군법원, 고흥군법원, 광양시법원, 구례군법원, 보성군법원, 여수시법원, 완도군법원, 진도군법원
전북 전주시
전주지방법원 및 군산지원, 정읍지원, 남원지원, 김제시법원 진안군법원, 무주군법원, 임실군법원, 익산시법원, 고창군법원, 부안군법원, 장수군법원, 순창군법원
제주도
제주지방법원 및 서귀포시법원